로그인정보 입력 영역

내서재

더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전자책

  • 다운로드
  • 뷰어사용안내
  • 자료대출안내

새로나온 책

더보기

공지사항

더보기

컨텐츠상세보기

고구려 초기 국가체제와 대외관계 (커버이미지)
고구려 초기 국가체제와 대외관계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엮음 
  • 출판사동북아역사재단 
  • 출판일2022-12-14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고구려사는 한국고대사에서 지난 10년간 가장 큰 변화상을 보였던 분야이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초기 기사를 적극 활용하여 고구려사 연구의 방향과 방법론이 새롭게 모색되었으며, 정치사와 대외관계사를 중심으로 연구주제가 세분화되고 다양해지면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고고학에서는 북한의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개설적인 정리를 시도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중국에 남아 있는 고구려 고고자료가 소개되고 임진강 이남의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고구려 유적에 대한 조사가 늘어나면서 고분벽화·고분·토기 등 여러 분야에서 독자적인 연구성과물이 나오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고구려통사』 발간은 이러한 고구려사 연구성과를 충실하게 정리하여 학계와 일반에게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 막 입문한 이들에게는 고구려사 연구의 지침서가 되고, 역사에 관심을 가진 이들에게는 고구려의 새로운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저자

여호규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교수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대 편)』(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한국고대사(1)』 (공저,
푸른역사, 2016),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신서원, 2014), 『삼국시대 고고학개론(1: 도성과 토목편)』(공저, 진인진, 2014), 『삼국지 동이전의 세계』(공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高句麗 城』 I - II(국방군사연구소, 1998 –1999)

강진원 숙명여자대학교 역사문화학과 조교수
『고구려 국가제사 연구』(서경문화사, 2021), 『한국고대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문헌, 문
자, 물질』(공저, 진인진, 2021),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공저, 사계절, 2014), 「고
구려 평양도읍기 王城의 추이와 왕권」(『한국고대사연구』 101, 2021), 「고구려 守墓碑 건립의
연혁과 배경」(『한국고대사연구』 83, 2016), 「고구려 陵園制의 정비와 그 배경」(『동북아역사논
총』 39, 2013)

김현숙 동북아역사재단 수석연구위원
『고구려의 왕과 왕자들』(동북아역사재단, 2019), 『고구려 남자, 고구려 여자』(동북아역사재
단, 2019),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모시는사람들, 2005), 「박물관 전시를 통해 본 중
국의 고구려사 인식」(『고구려발해연구』 71, 2021), 「고구려 초기 王城의 위치와 國內 遷都」
(『先史와古代』 54, 2017), 「集安高句麗碑의 건립시기와 성격」(『한국고대사연구』 72, 2013)

윤용구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교수
『翰苑 蕃夷部의 세계』(공저, 학연문화사, 2022), 『譯註 中國 正史 東夷傳 2: 晉書~新五代史
(高句麗·渤海)』(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평양 출토 竹簡 《論語》의 계통과 성격」(『목간
과 문자』 27, 2021), 「북위대 낙랑·고구려계 이주민-평성 출토 문자자료를 중심으로」(『동서
인문』 17, 2021), 「《翰苑》의 편찬과 蕃夷部」(『백산학보』 120, 2021), 「중국사서로 본 弁辰과
慕韓」(『한국고대사연구』 99, 2020)

임기환 서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고구려와 수·당 70년 전쟁』(동북아역사재단, 2022), 「桂婁部의 성립과 國內 遷都 試論」
(『역사문화연구』 77, 2021), 「고구려 초기 소노부, 계루부의 형성과 졸본」(『사학연구』 136,
2019), 「고구려 國內 遷都 시기 再論」(『사학연구』 132, 2018), 「고구려 전기 都城 관련 기사
의 재검토」(『역사문화연구』 65, 2018)

조영광 전남대학교 역사교육과 조교수
『동북공정 이후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동향』(공저, 역사공간, 2017), 『중국의 동북공정과 한
국고대사』(공저, 주류성, 2012), 「고구려 시조 주몽의 출자지에 대한 시론적 검토」(『한국사
연구』 186, 2019), 「고구려 멸망 후 요동 지역의 동향」(『대구사학』 133, 2018), 「고구려 왕도,
왕기의 형성 과정과 성격」(『한국고대사연구』 81, 2016)

목차

책머리에



1 초기의 정치체제와 사회구조



1장 정치체제의 구조와 운영 / 여호규

1. 나부의 구조와 성격

2. 관등제의 구성과 운영

3. 왕권의 위상과 제가회의의 변천

4. 좌·우보제에서 국상제로의 전환

2장 사회구조와 제의체계 / 강진원

1. 사회계층과 읍락의 모습

2. 제의의 종류와 특징



2 영역 확장과 대외교섭의 전개



3장 영역 확장과 복속지역 지배방식 / 김현숙

1. 초기 정복활동과 진출범위

2. 복속지역에 대한 지배방식

4장 1~3세기 국제정세와 대외교섭 / 윤용구

1. 후한의 변군 운용과 고구려의 제2현도군 축출

2. 공손씨 정권의 등장과 고구려

3. 위·진의 동방 진출과 고구려의 대응



3 중앙집권체제로의 전환과 지방통치조직 정비



5장 초기 정치체제 해체와 중앙집권체제로의 전환 / 임기환

1. 나부통치체제 해체와 방위부 변천

2. 중앙집권체제로의 전환과 관등제 변화

6장 지방통치조직 정비와 군사동원체계 확립 / 조영광

1. 지방통치체제 성립과 수취체제 정비

2. 군사동원과 방어체계의 성립



찾아보기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