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정보 입력 영역

내서재

더보기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전자책

  • 다운로드
  • 뷰어사용안내
  • 자료대출안내

새로나온 책

더보기

공지사항

더보기

컨텐츠상세보기

하늘이여 땅이여 1 - 개정판 (커버이미지)
하늘이여 땅이여 1 - 개정판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김진명 지음 
  • 출판사이타북스 
  • 출판일2023-04-27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사라진 팔만대장경, 축소된 우리의 역사
한국의 정신과 문화는 대체 어디로 사라졌는가?
잃었던 한민족의 거대한 힘을 찾으라!
밀리언셀러 작가 김진명의 『하늘이여 땅이여』 최신 개정판 출간!


『하늘이여 땅이여』는 사라져가는 대한민국의 고유한 정신과 문화를 지켜야 한다는 김진명 작가의 사명을 담은 책이다. 작품은 일제강점기 당시 자행되었던 민족 말살 정책과 문화재 침탈, 그리고 역사 왜곡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정신문화가 오염되었고, 이를 정화하지 못한다면 대한민국의 국운이 기울고 끝내 뿌리를 잃게 될 것임을 암시한다. 작가는 이러한 서사를 바탕으로 독자들이 작품 속 주제를 복합적으로 사유하게 만든다.

또한 작가는, 현대에 들어 자국 문화와 세계화의 흐름을 성공적으로 조화하고 있는 다른 나라들과 달리 대한민국은 역사의식 부재와 더불어 과학만이 정답이라는 현시대의 흐름에 매몰된 우리 스스로가 우리의 옛 문화를 배척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하늘이여 땅이여』는 우리나라의 역사적 근간을 구성하는 정신문화가 비과학적이라는 이유로 소멸해가고 있는 대한민국 현실을 예리하게 옮겨두었다. 나아가 일차원적인 문제 제기에 그치지 않고, 분열되어가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향해 과거를 단단한 디딤돌 삼아 미래를 어떻게 직시해야 하는지 그 길을 합리적으로 제시한다.

『하늘이여 땅이여』가 보여주는 우리나라의 정신문화를 향한 대의적 메시지는, 세 명의 등장인물로 하여금 국적과 세대를 넘어 예상을 벗어나는 서사 방식 안에서 흥미롭게 전달된다.
오랫동안 구축해온 우리의 지난 역사, 과학의 언어로 해석할 수 없는 정신문화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하늘이여 땅이여』는 독자들에게 대체 불가한 경험으로 다가갈 것이다.

“하지만 굿은 미신이오.”
“미신이란 무엇인가요? 비과학적인 것이 미신인가요?
그렇다면 세상의 모든 종교는 비과학적이고 따라서 미신이에요.
한반도에는 한반도의 역사와 문화가 있어왔고 한반도의 믿음이 있어왔어요.”

“과학으로 설명할 수는 없어도 현상은 엄연히 존재한다는 말씀을 하시려는 거예요?”
“아니, 그 이상이지. 참고 기다리면 과학이 그것을 설명할 수 있는 날이 온다는 것을 얘기하려는 거야. 특히 우리나라 문화에 그런 것이 많아. 모두 미신으로 부정당해 묻혀버렸지만
그 근저에는 언젠가는 과학으로도 규명될 원리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거야.”

저자소개

대한민국 최고의 베스트셀러 작가인 그는 소름 끼칠 정도의 예리한 통찰로 한(韓)민족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관통하는 독보적 작품 세계를 구축해왔다. 그가 제시한 이슈는 예외 없이 사회적 거대 담론으로 이어졌고 그의 예측은 귀신처럼 적중해왔다.
2023년 현재 충청북도 제천에서 소설 <고구려>를 집필하고 있다.

목차

작가의 말<br /><br />1. 의문의 사건<br />2. 바이러스 추적<br />3. 터미널 다운―고통의 3분 27초<br />4. 저항과 타협<br />5. 토우의 흔적<br />6. 힘의 정체<br />7. 잠적<br />8. 컴퓨터 천재<br />9. 기이한 환자<br />10. 함흥차사의 비밀<br />11. 역사의 수수께끼<br />12. 토우의 저주<br />13. 야마자키연구소<br />14. 맨해튼의 밤<br />15. 함정<br />16. 해킹 전쟁<br />17. 접속<br />18. 혼의 부활<br />19. 파일 침입자<br />20. 화두<br />21. 신비한 체험<br />22. 수호사자<br />23. 파티마의 예언<br />24. 한밤의 기도<br />25. 바티칸에서 온 신부<br />26. 비극적 예언<br />27. 숫자의 비밀<br />28. 천년의 법력<br />29. 토우와 팔만대장경<br />30. 도난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