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김경임 지음
- 출판사홍익
- 출판일2023-04-23
- 등록일2024-02-19
- 파일포맷epub
- 파일크기45 M
- 지원기기
PCPHONE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안내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책소개
문화유산의 약탈과 모방으로 점철된 일본문화재의 민낯을 파헤친다.
해체 수리와 복제가 다반사인 일본문화재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책
-일본문화의 복판을 가로지르는 조작의 흔적들, 그 속살을 해부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기준은 현저한 보편적 가치와 함께 유산의 진정성(authenticity)과 완전성(integrity)이 핵심 요소이다. 진정성이란 유산의 원형(original)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으로 복제된 유산을 거부하는 것이다. 이 같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진정성 기준은 국보급 문화재의 해체 수리와 복제가 다반사인 일본 문화유산의 진정성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한다.
조잡한 자국의 문화유산을 보충하기 위해 중세 왜구에서 시작된 일본의 문화재 약탈 관행은 근대화와 산업화가 이루어진 제국주의 일본에서 보다 철저하고 더 큰 규모로 되살아났다. 메이지유신 이래 근대화에 성공하고 본격적인 제국주의 길로 들어선 일본은 이웃나라들에 대한 침략을 계획하며 전쟁 중 문화재 약탈 계획을 치밀하게 준비했다.
오늘날 일본에는 은폐되고 밀봉되어 접근할 수 없는 문화재가 무수히 존재한다. 이러한 일본문화재는 일본 역사뿐 아니라 한일관계사와 동아시아 역사, 나아가 세계문명사 보완을 위해 더없이 귀중한 잠재적 사료이다. 이 책을 통해 일본문화재가 인류 역사의 복원에 이바지하고 역사의 진실에 응답하도록 문화재의 공개, 학문적 연구와 비판을 수용하는 정책을 촉구한다.
한반도와 중국의 다대한 영향을 받은 고대 일본의 문화재들이 어떻게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독보적 문화로 대접받는지를 추적하는 역사인문서
-무수히 많은 한반도의 문화유산들이 일본의 국보가 된 이유는 무엇일까?
반 고흐는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에 이렇게 썼다. ‘내 모든 작품은 일본 미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일본 미술은 일본 자국에서는 퇴폐해졌어도 프랑스 인상주의 작가들 사이에서 다시 뿌리를 내리고 있다.’ 1800년대 중후반, 유럽의 예술가들에게 일본미술은 충격적이었다. 특히 일본 풍속화 우키요에는 1867년 파리 만국박람회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이러한 일본 붐, 소위 자포니즘(Japonism)은 미지의 국가 일본에 다대한 홍보 효과를 안겨 주었다.
일본의 국보 1호는 우리나라 국보 반가사유상과 놀랍도록 닮았다. 그밖에도 수많은 한반도 문화유산들이 일본의 국보로 둔갑되었다. 여기서 보듯이 오늘날 한일 갈등의 기저에 흐르는 양국 간의 고대사 분쟁에는 역사의 물증으로서의 문화재가 필히 개재되어 있다. 그렇기에 우리와는 차원이 다른 일본인들의 문화재에 대한 독특한 감정을 파악하는 일은 문화재에 얽힌 양국 간의 갈등을 이해하는 첫걸음이다
이제 일본인들은 문화재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거나 문화재에 얽힌 거짓 전승과 조작된 해석을 버리고 이를 학술적으로 연구하여 그 고유한 가치를 해명해야 한다. 존재하지 않는 문화재를 갈망하여 이웃나라 문화유산을 탐하지 말고 타국의 문화재를 존중하여 약탈문화재를 반환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일본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고 밝혀 줄 일본 고유의 문화재를 일본과 인류의 문화유산으로 보전, 계승하기 위한 일본의 참된 문화재 정책을 촉구한다.
저자소개
서울대 미학과를 졸업하고 우리나라 여성 최초로 외무고시에 합격한 뒤 도쿄, 뉴욕, 파리(유네스코), 뉴델리, 브뤼셀 등지에서 외교관 생활을 했으며 튀니지 대사를 역임했다. 외교통상부 문화외교국장을 지내며 문화재 반환 문제에 관한 국제적 시각을 갖게 되었으며 프랑스와의 외규장각 도서 반환 협상 당시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우리나라의 몇 안 되는 문화 전문 외교관으로서 문화외교 분야에서 쌓은 경험과 연구를 토대로 《약탈문화재의 세계사(1)(2)》를 발표했으며 그밖에 《사라진 몽유도원도를 찾아서》, 《서산 부석사 관음상의 눈물》 등이 있다.목차
시작하며
1장 일본의 근대화와 문화재의 탄생
1. 일본의 근대화, 그 서막과 문화재 파괴
2. 폐불훼석에서 고기물 보존 정책으로
2장 일본의 보물
; 시대별 보물의 수집, 제작과 축적
1. 보물의 시작
2. 신보에서 현세적 보물로 – 고분의 부장품
3. 일본의 불교시대와 아스카 불교문화
4. 아스카불교의 전령 – 한반도 불상의 존재 방법
5. 호류지法隆寺 – 일본 고대문화의 표상
6. 일본의 탄생과 나라시대
7. 헤이안시대의 국풍문화
8. 중세 무가시대 – 전쟁과 선문화의 시대
9. 일본의 근세 – 센코쿠시대, 에도시대, 메이지시대의 문화유산
3장 근대일본과 문화재 정책
1. 박람회와 문화재
2. 미술의 부상 – 국가적 대사업으로서의 미술
3. 일본 국립미술관의 설립과 종착점
4. 일본문화재 제도의 완성
5. 이웃나라 문화재의 약탈과 활용
6. 전시 일본문화재의 소개
4장 오늘날 일본의 문화재, 문화유산
1. 패전과 문화재
2. 일본 약탈문화재의 반환
3. 일본의 세계유산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