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포스텍 SF 어워드 수상작품집 No.1 - 2021_2022 (커버이미지)
포스텍 SF 어워드 수상작품집 No.1 - 2021_2022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김한라 외 지음 
  • 출판사아작 
  • 출판일2022-08-19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국내 유일 이공계 대학(원)생 대상 SF 공모전
“한국 SF의 또 다른 미래, 소설 너머 과학도의 SF”

한국 SF의 다양성과 깊이를 더 넓게 더 깊게 해줄
포스텍 SF 어워드의 첫 수상작품집!
뛰어난 과학 지식과 발상으로 빚어낸 한국 SF의 또 다른 미래
“장르적 재미와 소설적 완결성을 모두 갖춘 8편의 빛나는 성취!”


‘포스텍 SF 어워드’는 이공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SF 창작 공모전입니다. 포스텍은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성과 인문학적 소양을 두루 갖춘 이공계 분야의 재학생 중에서도 문학적 역량을 지닌 숨은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 2020년에 이 문학상을 처음 제정하였습니다. 지금까지 두 해에 걸쳐 공모전을 치른 결과 ‘단편소설’과 ‘미니픽션’ 등 두 분야에서 총 여덟 명의 신인 작가를 배출하였으며, 이들의 수상작과 그 외 추천작을 모아 첫 작품집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제1회 공모전에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많은 지원자가 총 200편 가까운 작품을 응모했고, 제2회 공모전에서도 소재의 다양성과 아이디어의 창의성, 작품의 완성도 면에서 SF로서의 장점을 두루 갖춘 작품들이 많이 출품되어 향후 ‘포스텍 SF 어워드’에 대한 기대를 한껏 높일 수 있었습니다.
김민정, 포스텍 ‘소통과 공론 연구소’ 소장

장르문학상의 존재의의는 언제나 구체적일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기성 작가가 아닌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포스텍 SF 문학상 심사위원으로서, 단순히 가능성을 보고 판단하는 것보다는 더 구체적으로 좋은 작품을 선별하기 위한 심사과정이 되기를 바랐습니다. 응모작들은 전반적으로 그러한 기대를 충분히 웃도는 수준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수상작들의 경우 SF 문학상에 걸맞은 장르적 재미와 소설적 완결성을 동시에 겸비한 작품들입니다.
 — 박인성, 문학평론가

“가상의 과학기술에 대한 디테일한 묘사가 돋보였다.”
김초엽, 소설가
“뛰어난 지식과 돋보이는 과학적 발상”
정보라, 소설가
“선명한 이미지, 뚜렷한 주제의식, 창의적인 SF적 발상”
정소연, 소설가

‘포스텍 SF 어워드’는 이공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SF 창작 공모전입니다. 포스텍은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성과 인문학적 소양을 두루 갖춘 이공계 분야의 재학생 중에서도 문학적 역량을 지닌 숨은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 2020년에 이 문학상을 처음 제정하였습니다. 지금까지 두 해에 걸쳐 공모전을 치른 결과 ‘단편소설’과 ‘미니픽션’ 등 두 분야에서 총 여덟 명의 신인 작가를 배출하였으며, 이들의 수상작과 그 외 추천작을 모아 첫 작품집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포스텍 SF 어워드’가 “이공계 대학(원)생만을 대상으로 하기로” 한 것은 쉬운 결정이 아니었습니다. 주위에서도 문학상의 경쟁력을 보다 높이기 위해 응모 자격을 전공 제한 없이 넓히는 것이 좋겠다는 우려 섞인 조언을 해주었습니다. 이미 많은 작가 지망생들이 유사한 성격의 여러 문학 공모전을 통해 등단하고 있는데, 포스텍이 제정하는 SF 문학상은 기존의 것들과 어떤 차별화된 의미를 갖고 어떤 새로운 역할을 해낼 수 있을까? 이런 질문을 스스로 제기하면서 ‘포스텍 SF 어워드’의 정체성에 대해 깊이 고민해야 했습니다.

다행히도, 우려했던 바와 달리 제1회 공모전에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많은 지원자가 총 200편 가까운 작품을 응모했고, 제2회 공모전에서도 소재의 다양성과 아이디어의 창의성, 작품의 완성도 면에서 SF로서의 장점을 두루 갖춘 작품들이 많이 출품되어 향후 ‘포스텍 SF 어워드’에 대한 기대를 한껏 높일 수 있었습니다. 특히 한 심사위원은, “응모 자격을 ‘이공계 대학(원)생’으로 한정한 것은 응모자에 대한 제약이라기보다 작품에 구체성을 부여하는 장치가 될 수 있으며, 그만큼 개성 있는 출품작들이 많아질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여 ‘포스텍 SF 어워드’의 방향성에 대한 주최 측의 결정에 힘을 실어주기도 하였습니다.

‘포스텍 SF 어워드’의 생각은 이렇습니다. 한국 사회의 왜곡된 교육구조 내에서 대부분의 이공계생들은 지금까지 문학작품 한번 제대로 감상해본 적이 없었던 탓에, 이들이 문학 공모전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현실적 진입 장벽은 인문사회계열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머지않아 문/이과 구별 없이 균형 잡힌 교육 여건이 갖춰질 때까지라도 이공계생들에게 좀 더 많은 공모전의 기회를 부여하는 것은 필요하고 중요합니다.

한국이 SF의 불모지 같았던 때가 불과 몇 년 전이었는데, 이제는 SF가 문단의 중심에서 한국문학을 이끌어가는 장르가 되었습니다. 흔히, 독자들에게 감동을 주는 SF는 작가의 과학적 상상력과 문학적 감수성의 조화를 통해 완성된다고 합니다. 지금도 어디선가 SF 창작에 대한 꿈을 키우고 있을 수많은 과학도들에게 그래서 당부하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자신이 가진 과학적 호기심과 사고력을 꾸준히 키워가는 한편, 인문학적 소양을 쌓기 위한 노력도 소홀히 하지 않길 바랍니다. 아마도 그것은, 인간의 취약성과 세계의 불확실성에 대한 겸허한 이해 그리고 과거와 현재에 대한 성찰을 통해 미래를 내다보는 힘을 키우는 작업이 될 것입니다. ‘포스텍 SF 어워드’도 이공계 재학생들이 SF 창작을 통해 과학기술의 가능성에 대해 늘 질문하고 인문학적 감수성을 함께 키우면서 스스로 성장해나갈 수 있도록, 그리고 과학기술 분야의 더 많은 SF 작가 지망생들이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김민정, 포스텍 ‘소통과 공론 연구소’ 소장

저자소개

서울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에 재학 중이다. SF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에 도전한다. 2018년 서울대학교 대학문학상 소설 부문 가작을, 2021년 포스텍 SF 어워드 미니픽션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비록 말주변은 없지만 공상하기를 좋아한다. 사람을 떠올리고, 그들을 상상한다. 인생이 담긴 소설을 쓰고 싶다.

목차

서문: 소설 너머, 과학도의 SF•김민정_7



정도겸•인면화 (제2회 미니픽션 가작)_11

이하진•어떤 사람의 연속성 (제1회 단편소설 당선작)_21

이주형•잇츠마인 (제2회 단편소설 가작)_55

박경만•식(蝕) (제1회 미니픽션 당선작)_97

김한라•리버스 (제2회 단편소설 당선작)_107

지동섭•인간이라는 동물의 감정 표현 (제2회 미니픽션 당선작)_143

정도겸•외딴 섬 뉴런 (제2회 단편소설 김초엽 추천작)_155

황수진•구멍 (제1회 단편소설 가작)_185

이한나•기술이 사람을 만든다 (제1회 미니픽션 가작)_209

이소희•걸리버의 이상한 나라 (제2회 단편소설 박인성 추천작)_221

박시우•나무인간 (제2회 단편소설 정소연 추천작)_259



제1회 포스텍 SF 어워드 심사평_289

제2회 포스텍 SF 어워드 심사평_298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