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내가 나인 게 싫을 때 읽는 책 - 우울과 불안이 마음을 두드릴 때 꺼내보는 단단한 위로 (커버이미지)
내가 나인 게 싫을 때 읽는 책 - 우울과 불안이 마음을 두드릴 때 꺼내보는 단단한 위로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이두형 (지은이) 
  • 출판사아몬드 
  • 출판일2021-10-22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건강한 사람은 그저 긍정적이고 밝은 사람이 아니라
긍정과 부정 양면을 모두 인정하는 사람이다”

‘아는 정신과 의사’ 이두형이 전하는
완벽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있는 그대로 사는 법
수용전념치료(ACT)는 부정적인 감정이나 생각을 버려야 할 대상이나 없애야 할 문제점이 아니라 나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을 내세우는 심리치료기법이다. 수용전념치료를 처음 고안한 스티븐 헤이스(Steven C. Hayes)는 “상처받을 것을 알면서 인간은 여전히 다른 사람을 사랑한다”고 말했다. 이 말에는 수용전념의 핵심 개념이 담겨 있다. 상처라는 부정적인 개념과 사랑이라는 긍정적인 개념은 당연히 한 사람 안에서 함께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것, 상처를 치유하거나 없애야만 누군가를 사랑할 자격이 주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그냥 좀 괜찮아지고 싶을 때》로 마음이 다친 사람들에게 구급상자 속 반창고 같은 조언을 건넸던 ‘아는 정신과 의사’ 이두형이 이번에는 수용전념치료를 기반으로 한 대중교양서 《내가 나인 게 싫을 때 읽는 책(아몬드 刊)》을 들고 독자 곁을 다시 찾았다.
저자는 첫 책을 출간한 뒤 마련한 북토크 자리에서 “자존감이 낮아서 힘들다”는 독자를 만났다. 그는 자신을 도저히 사랑할 수가 없었는데, 어떤 책에서 “자기 자신을 충분히 사랑하면 행복해질 것”이라는 이야기를 읽었다고 했다. 그래서 아침마다 거울을 보고 스스로를 안아주며 ‘난 괜찮다, 사랑받을 만한 사람이다’라고 다독였으나 그럴수록 거부감만 들고 스스로가 미워질 뿐이라며 결국 눈물을 보였다. 저자는 화가 났다. 힘든 이를 위로하기 위한 ‘자존감’이라는 단어가 오히려 그들을 더 힘들게 할 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날 저자는 이 책 《내가 나인 게 싫을 때 읽는 책》을 써야겠다고 결심한다.

때로는 스스로를 안아주고 이해하기가,
사랑하기가 버거울 때가 있음을 받아들이기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스스로를 긍정할 수 있는 확률은, 그 사람이 단 한 번의 실패나 실언, 상처를 경험하지 않을 확률만큼이나 희박한데, 어째서 세상은 그에게 매 순간 스스로를 사랑해야 한다고 이야기했을까. 언제부터 ‘자존감’이 그토록 불가능에 가까운 작업을 해낸 사람의 특권이자 스펙이 되었을까.
이 책은 ‘좋은 나, 긍정적인 나’라는 인위적인 상태에 도달하는 것에서 벗어나기를 권한다. ‘불확실성이 제거되고 확신만 가득한 편안한 마음 상태’는 너무 매력적이지만 실제로는 존재할 수 없는 신기루라는 점도 지적한다. 또 ‘때로는 스스로를 안아주고 이해해주기가, 사랑하기가 버거울 때가 있음’을 받아들이라고 조언한다.
쉽게 말해, 우울하다고 우울을 없애버릴 대상으로 여기지 말고 불안하다고 불안을 타도하려 들지도 말고, 그런 ‘부정적인 감정’이 있는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라는 의미다.
이렇게 ‘뜬구름 잡는 듯한’ 이야기가 정말로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되고 치료적으로도 효과가 있을까? 우리는 무언가 문제가 생기거나 부정적인 감정에 휩싸였을 때 ‘생각’을 한다. 나는 왜 이렇게 우울하지, 아니 우울은 좀 괜찮아졌는데 이제는 불안한 것 같아. 우울과 불안은 나쁜 거니까 없애야 하는데 어떡하지. 어려서 사랑을 많이 못 받아서 이러나. 이걸 해보면 나을까, 저걸 해보면 괜찮아질까. 이렇게 사는 게 정말 의미가 있는 걸까. 생각은 꼬리에 꼬리를 문다.
그러나 저자는 ‘생각’은 원인을 분석해 해결책을 도출하는 데는 탁월한 도구이지만 ‘사는 이유’같이 결론이 모호한 질문에 답을 구하거나 ‘어린 시절의 고난’같이 바꿀 수 없는 과거를 살펴볼 때는 무력하다고 말한다. 책은 그럴 때 스스로가 괜찮은지 그렇지 않은지, 이런 나를 사랑할 수 있을지 ‘생각’하기보다 지금 눈앞의 하루를 괜찮게 만들 수 있는 것을 떠올려보자고 말한다.
실제 진료 현장에서 저자는 이 뜬구름 잡는 듯한 원리의 효과를 목격하고 있다. 어느 날 환자 한 분이 저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죽고 싶은 생각이 아예 없어진 건 아니에요. 그냥 죽을까 싶을 때도 있지만 어쨌든 내일이 시작될 거란 느낌이 들어요. 왠지 말로 표현은 안 되지만 그냥 살아가면 될 것 같아요. 그렇게 한 주를 보내고 선생님을 만나야지, 그런 생각을 해요.”
어떤 말로도 환자가 전해준 이야기보다 이 책의 효용을 정확하게 표현하긴 어려울 것이다.

저자소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이두형 정신건강의학과 원장.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인제대학교 백병원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취득했다. 대한 신경정신의학회, 국제 맥락적 행동과학회(ACBS) 정회원이며 〈정신의학신문〉 및 네이버에 마음 건강에 관한 칼럼을 연재한다. 지극히 문과적인 성향임에도 의대를 가서 방황하다가 정신의학을 만나 비로소 머물 자리를 찾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정신의학을 공부하며 느꼈던 것들, ‘참 좋은데, 어떻게 표현하기 어려운’ 것들을 글로 풀어내는 일에 관심이 많으며 네이버 블로그 ‘두두의 마음 카페’와 브런치 ‘아는 정신과 의사’에서 독자들과 만나는 중이다. 저서로 《그냥 좀 괜찮아지고 싶을 때》, 옮긴 책으로 《심리치료에서 자기를 다루는 법》(공역)이 있다.

목차

서문 | 불완전한 나와 당신에게 보내는 글



1장 오늘 하루를 괜찮게 보내는 마음들

그라면 지금 어떻게 했을까: 내가 되고 싶은 모습에 다가가는 방법

오늘이 괜찮은지 오늘은 알 수 없다: 잘 살아가고 있는지, 어떻게 살아야 할지 고민이라면

마음속 긍정이와 부정이 그리고 무던이: 삶을 비관하는 것이 매력적인 오답인 이유

생각이 너무 많아 고민일 때: 찾을 수 없는 인생의 답에 매달리는 대신 ‘불편함’에 익숙해지기



2장 슬픔과 불행으로 자꾸만 길을 잃을 때

과거의 아픔으로 죽고만 싶을 땐, 그냥 써보세요: 쓰기 노출 치료와 기억의 통합이 주는 평온

마음은 빼기가 아닌 더하기만 가능하다: 잊고 싶은 기억 때문에 아파하고 있다면

슬픔이 사라지면 정말 행복해질까: 우리가 원하는 ‘정상적인 마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죽고 싶은 생각보다 더 신경 쓰이는 것들: 내가 살아가고 싶은 삶은 어떤 모습인가



3장 매일 사막을 건너는 기분이라면

왜 내 인생은 마음대로 되지 않을까: 기분 지향적 행동과 목적 지향적 행동

삶이 괜찮은지 확인하지 않고 그냥 살기: 행복에 닿으려고 애쓰지만 계속 실패한다면

여러 선택지 중에 내게 더 좋은 것 고르기: 술잔에 따르는 사이다 맛

어떤 설명도 나라는 우주를 담아내지 못한다: 심리학 지식을 접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것

매일 마음에 찾아오는 불청객 맞이하기: 마음의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는 생각이 삶에 미치는 영향



4장 삶을 굴러가게 하는 작고 소중한 것

내 감정이지만 도무지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모를 때: 감정에 이름표 달아주기

내가 살아 있다고 느끼는 시간들: 자존감이 부족하다고 생각할 때

너무 노력하려고 애쓰고 있다면: 하려고 노력하지 않고 그냥 하기

스트레스 해소가 우리에게 주는 것들: 어느 정신과 의사의 마음 관리법

다짐을 실행하게 하는 마법의 주문: 왜냐하면 그냥 내가 하기로 선택했으니까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