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잊지 않음 - 타인의 역사, 나의 산문 (커버이미지)
잊지 않음 - 타인의 역사, 나의 산문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박민정 (지은이) 
  • 출판사작가정신 
  • 출판일2021-08-10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문지문학상, 현대문학상, 젊은작가상 대상 작가 박민정 첫 산문집
최은영 소설가 강력 추천!

잊지 않기 위해 세계를 끝없이 감각하며 쓴 문장들

"어디쯤 가서 뒤돌아보고 있는지 알고 싶었다”
뒤돌아보고, 기록하며, 기억하는 일


박민정 소설가의 첫 산문집『잊지 않음』의 첫 글은 박서원 시인과 그 시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된다. 여성작가를 향한 세상의 시선이 있는 그대로가 아닌 편견을 한 겹 덧쓰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며 박민정 소설가가 느끼는 것은 일종의 두려움과 불편함이다. 하지만 작가는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자신의 산문이 “두려움의 방증일 수도, 하나의 징후일 수도 있음을 인정”하는 것으로 산문집의 서두를 연다. 1987년 세 살 무렵 최루탄 냄새를 맡았던 “인생 최초의 기억”에서부터 어린 시절 직간접적으로 차별과 폭력을 경험한 일, 문학을 시작하는 시기에 맞닥뜨린 혼돈과 불안의 감정들, 소설을 쓰기 시작한 이유가 “나와 닮은 나의 적을 만들어” 자신을 비웃고 싶어서였음을, 그리고 우울을 가만히 견딜 수 있는 동료 소설가에 대한 부러움과 애정을 내밀하게 고백하는 글에서는 작가가 이 글들을 쓰기까지 얼마나 고민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박민정 소설가는 더욱 용감한 글쓰기로 자신의 글을 펼쳐 보인다. 소설가 최진영을 통해서는 ‘최진영’ 소설가뿐만이 아니라 ‘박민정’이라는 작가의 내면이 들여다보이고, 학생들을 바라보며 학교라는 공간이 주근主根으로 남았음을 깨달으며, 어린 시절 폭력적으로 수영을 배워야만 했던 기억에서 한 발자국 더 나아가 도약했음을 선언한다. 두려움으로 남았던 물속에서 비로소 눈을 뜨고 숨을 쉬며 “여기서부터 시작”이라고 말하는 박민정 작가의 글은, 자신이 겪었던 일을 망각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인생은 새로운 시작을 허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눈 뜨세요. 그러면 안 무서워요. 그때 나는 질끈 감은 눈을 조심스레 떴는데, 눈을 감았을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마음이 편안해진다는 걸 느꼈다. 여기서부터 시작이다. 나는 생각했다. 물속에서 눈을 뜨고 숨을 쉬는 것이다. _본문 중에서

“우리 육체 속에 연약하게 머물러 있던
기억을 놓치지 않기 위해 이렇게 만들고 쓴다”


작가의 의식은 2부에서 우리의 인생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문화적인 저변으로 더욱 확대된다. 모국에서 쫓겨나듯 해외로 입양되는 해외입양의 어두운 단면, 제1세계라는 곳에서 예상치 못하게 느낀 불편함과 제국주의의 그늘, 1990년대를 즐겁게 소환하는 요즘의 흐름에 정작 그 시대에 자유롭지 못했던 사람들이 있었음을 기억하며, “개인사는 희미한 기억일지언정 나의 산문으로 재의미화”하는 과정을 거친다. 또한 지하련의「체향초」, 개브리얼 제빈의 『비바, 제인』, 영화 〈히로시마 내 사랑〉, ‘NO JAPAN’ 운동 등 문학, 영화, 역사, 사회정치적 현안까지 작가의 폭넓고 다양한 관심사와 깊이 있는 사유가 녹아 있다.
특히 작가가 2부에서 집중하는 것은 뿌리 깊은 한국사회의 혐오 문화다. 즐겁고 활기찬 직장 여성의 이미지가 감추고 있는 산업사회의 여성 착취, 기표만 달리한 채 증식되고 있는 여성 혐오…… 특히 여성, 그리고 여성작가로서 대상화되어 온 작가의 경험은 혐오적 표현과 발언이 한국사회 일상이며 문화로 자리 잡았음을 깨닫게 한다. 박민정 소설가는 자신의 경험을 선회하여 “내가 돌아갈 곳은 결국 빈 문서 앞”이라고 얘기한다. 여성으로서, 그리고 작가로서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 박민정 소설가가 내보이는 솔직하고 거침없는 목소리는 바로 이러한 의지 덕분일 것이다.

어떤 이들에게 우리 사회는 도처에서 야차가 달려오는 사회이며, 야차가 달려오면 춤이라도 춰야 하는 것이다. 왜 그렇게 성을 내냐고 묻는 자신의 모습을 삼인칭으로 바라보는 일, 뿌리 깊은 혐오사회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일은 그것이라고 나는 믿는다. _본문 중에서

우리의 이름과 역사를 망각하지 않기 위하여
“나는 우리가 우리 자신이 되어 자유로워지기를 바란다” _소설가 최은영

최은영 소설가는 “과거의 우리가 애써서 만나려고 했던 지금의 우리를 잘 돌보고 아끼기”를 통해 우리 자신을 더 사랑해주기를 바란다고 쓴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사랑하고 진정한 우리 자신이 되어 자유로워질 수 있는 방법은 바로 박민정 작가가 얘기한 ‘잊지 않는 일’일 터다. 과거의 연약했던 우리를 인정하고, 잊지 않으며, 그러기 위해 기록하는 일.
3부에는 박민정 소설가가 이러한 과정을 그 누구보다 치열하게 거쳤음을 엿볼 수 있다. 소설을 쓰는 동안 폭력을 재현하는 것에 대해 한 줌의 욕구도 없었는지, 여성화자를 그릴 때 세간이 생각하는 여성인물의 (비)전형성이라는 외압을 느낀 적은 없었는지, 여전히 박민정 소설가는 고민하고 또 고민한다. “생물학적 성이 여성인 작자가 창작한 이야기”가 어떤 혐의를 쓰고 있는지 작가는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박민정 소설가는 여전히 자신의 작가적 정체성이 아직도 흔들림을 고백하면서도 마침내 글로써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하고 있다. 박민정이라는 작가가 어디까지 더 나아갈 수 있는지를 기대할 수 있는 까닭은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어쩌면 내가 외면하고 싶었던 작가적 자의식은 사람들이 한데 모여 꾸짖었던 여성작가의 자의식일는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더불어 생각한다. 당신 작가 아닌가요. 이 질문은 나에게는 정체성을 쥐고 흔드는 질문이었다. _본문 중에서

저자소개

1985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09년 《작가세계》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유령이 신체를 얻을 때』 『아내들의 학교』 『바비의 분위기』, 장편소설 『미스 플라이트』, 중편소설 『서독 이모』가 있다. 김준성문학상, 문지문학상, 젊은작가상,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목차

들어가며 6



1부 나는 그저 가만히 있어, 담배도 피우지 않고 이렇게



여성시라는 장르 규칙1 10

여성시라는 장르 규칙2 18

기억의 간헐 작용 25

나는 그저 가만히 있어, 담배도 피우지 않고 이렇게 32

우리처럼 그들도 43

병에 대한 불안감 47

실패할 것을 알면서도 50

대체될 수 없는 사람 59

하지 않는 쪽으로 62



2부 타인의 역사, 나의 산문



타인의 역사, 나의 산문 66

알지 못했던 세계에서―나의 1990년대 77

성난 얼굴을 돌아보기―‘여성혐오’에 대하여 85

2019년 여름, 소비의 기억으로부터 94

제1세계에서 본 것, 느낀 것 104

‘끝없는 게임’의 ‘시작’: 『비바, 제인』 113

나를 실망시킬 때 내 이름을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반박하는 여자들』 117

더없이 투명한 가면 쓰기: 「체향초」 123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와 누베르, 남자와 여자: 〈히로시마 내 사랑〉136



3부 선생님은 작가시죠, 아마도?



토끼 인형처럼 무력했던 우리들은 그러나 148

거울 너머의 사람을 바라보는 장면 163

필드워크의 스승 175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소설의 인물에 대하여 178

자꾸 실패한다는 사실이 유용해지는 까닭에 대하여 188

최후의 심판대에서 맑다는 것 195

선생님은 작가시죠, 아마도? 207



나의 오랜 친구 민정이―최은영 219

나가며 231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