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공공신학과 교회 (커버이미지)
공공신학과 교회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김창환 (지은이) 
  • 출판사대한기독교서회 
  • 출판일2021-02-10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4, 누적예약 0

책소개

이해를 넘어 행동하는 신앙인으로 살아내기
_공공신학의 방법론과 그 적용을 중심으로

이 책은 공공신학의 주요 주제들과 함께 공공신학 이론들을 구체적이고 특정한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룬다. 공공신학은 공적 영역에서 교회가 복음적 가치관을 어떻게 공유할 것인지, 개인적으로는 한 명의 시민으로서 사회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에 대한 신학적 고민이다. 따라서 이것은 교회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신학적 재정립을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도입에서 저자는 서구 사회뿐 아니라 전 세계적 현상인 교회와 사회의 영역이 점차 단절 되고 있는 현상을 지적한다. 과거와 달리 교회는 공적 영역이 아니라 개인적 영역의 차원으로 그 역할과 의미가 축소되었다. 그러나 저자는 교회의 정체성은 분리되고 사적인 영역의 차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깊이 관여하며, 기여하는 데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교회의 두 축이며, 곧 공동체의 정체성과 공동체의 역할이다.
저자는 공공신학의 유형을 네 가지로 구분한다. 첫째는 공공신학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이를 조직신학적으로 체계화하는 작업, 둘째는 공공신학의 방법론 구성을 위해 여러 가지 공적 주제와 논제들을 연구하는 것, 셋째는 특정 신학자나 그리스도교 운동을 분석하여 공공신학에 적용하기 위한 시도, 넷째는 기존 신학의 주요 주제, 현대신학과 공공신학의 대화에 대해 연구하는 작업이다. 저자는 이 중에 두 번째 작업, 즉 공공신학의 주요 주제들을 구체적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조명하기 위해 범세계적 상황을 다룬다.
제1부에서는 공공신학의 이론적 토론을 위해서 공공권(public sphere)에 대한 신학적 조명, 방법론, 그리고 공공신학과 다른 현대신학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개괄한다. 또한 공공신학의 역사적 발전 과정과 다양한 개념의 구별 등에 대해 토론하면서 한국에서의 공공신학의 현황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즉 공공신학에 대한 대략적 개괄과 역사적 배경을 통해 공공신학을 소개하고, 신학이 당시 시대와 교류했던, 공공신학으로서 작용했던 적용사례로 지혜문서를 언급한다.
제2부에서는 공공신학의 주요 주제인 하나님의 정의와 평화, 하나님의 평등과 공정성, 하나님 나라와 공동의 선, 약자를 향한 하나님의 정의, 그리고 하나님의 창조질서 보전에 대해 다루고, 이러한 주제들을 한국, 남미, 영국, 인도 등의 역사적 상황에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공공신학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면서 이러한 신학적 작업이 공공 영역에서 교회의 정체성과 역할을 회복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이 책은 복음을 아는 데에 그치지 않고, 일상에서 살아내고자 하는 모든 신앙인에게 유용한 책이 될 것이다.

저자소개

한양대학교 공과대학(B. Sc.)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
영국 올네이션스 대학(Dip. Miss.)
미국 풀러 신학대학원(Th. M.)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신학부(Ph. D.)

인도 유니온 신학대학원 방문교수와 영국 세인트존 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했으며, 「국제공공신학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Theology ) 초대 편집장을 지냈다. 현재 풀러 신학대학원 공공신학 교수(Robert Wiley Professor of Renewal in Public Life)와 풀러코리안센터 학장(Academic Dean, Korean Studies Center)으로 재직 중이며, 영국 왕립 아시아학회 정회원(Fellow of Royal Asiatic Society)이다.
주요 저서로는 Theology in the Public Sphere (SCM), In Search of Identity: Debates on Religious Conversion in India (OUP),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CUP), Christianity as a World Religion (Bloomsbury) 등이 있으며, 그 외 A Companion to Public Theology (Brill) 등 14권의 편저가 있다.

목차

머리말 • 5



제1부 공공신학의 발전과 신학 방법론



제1장 오늘날 교회의 과제와 공공신학의 담론 19

제2장 공공신학의 역사적 발전과 현황 59

제3장 성서와 공공신학: 공공신학을 위한 성서의 지혜 전통 90



제2부 신학의 공적 담론과 적용



제4장 하나님의 평화, 정의 그리고 화해 121

제5장 하나님의 평등과 분배의 공정성 157

제6장 하나님 나라와 공동의 선 183

제7장 하나님의 정의와 소수 공동체 217

제8장 하나님의 창조질서 보전 245



나가는 글 하나님 나라와 교회의 공공성 271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