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삶을 위한 수업 - 행복한 나라 덴마크의 교사들은 어떻게 가르치는가 (커버이미지)
삶을 위한 수업 - 행복한 나라 덴마크의 교사들은 어떻게 가르치는가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마르쿠스 베른센 (지은이), 오연호 (편역) 
  • 출판사오마이북 
  • 출판일2020-05-20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존재의 소중함, 창의적인 배움, 민주적인 공동체, 사랑과 자유
‘삶을 위한 교육’을 실천하는 덴마크 교사 10명을 만나다

행복한 나라의 교사들은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칠까? ‘삶을 위한 수업’은 무엇으로 가능할까? 이 책은 한국특파원으로 활동하며 3년 동안 세 아이를 서울에서 키운 덴마크 저널리스트 마르쿠스 베른센(Markus Bernsen)과 덴마크 행복사회를 분석한 베스트셀러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오연호 작가의 공동 기획이다. ‘행복한 사회, 행복한 삶’의 출발은 ‘행복한 교육’에 있다는 데 뜻을 같이한 두 사람은 한국의 교사, 학부모들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덴마크 교사들을 찾아 나섰다. 영어, 수학, 과학, 사회, 민주주의, 세계시민, 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10명의 교사들은 자신의 수업 철학과 수업 방식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흥미롭게 들려준다. 이 책에 소개된 교사들은 덴마크 일간지 ‘폴리티켄’이 선정한 ‘훌륭한 교사상’ 수상자들이기도 하다.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고, 창의적으로 배우며, 민주적인 관계를 만들어나가는 교사와 학생들. 그들이 만들어내는 행복한 수업은 우리가 살고 싶은 세상을 꿈꾸게 한다. 이 책에 담긴 덴마크 교사들의 생생한 이야기와 진심 어린 조언은 행복한 교육, 행복한 삶을 바라는 이들에게 깊은 울림으로 다가갈 것이다.


◆ 행복한 사회, 행복한 삶은 ‘행복한 교육’에서 시작된다

우리도 ‘삶을 위한 수업’을 할 수 있을까? 북유럽 스칸디나비아에서 가장 큰 주간지 〈웨켄다비센(Weekendavisen)〉의 기자 마르쿠스 베른센은 2014년부터 3년 동안 한국 특파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주한 덴마크 대사관에서 일하는 아내와 함께 서울에서 세 아이를 키우면서 덴마크, 북유럽과는 너무나 다른 한국의 교육 현실을 체험했다. 베른센 기자는 한국을 사랑했지만, 교육 문제에 있어서는 한국에서 아이들을 키우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2017년 봄, 베른센 기자와 오연호 작가(오마이뉴스 대표, 사단법인 꿈틀리 이사장)가 만났다. 오연호 작가는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를 출간한 뒤 전국에서 ‘행복 특강’을 진행하고, 청소년을 위한 ‘꿈틀리인생학교’와 성인을 위한 ‘섬마을인생학교’를 운영하는 등 ‘삶을 위한 교육’을 고민하며 새로운 길을 만들고 있었다.
오연호 작가와 베른센 기자는 한국 교육에 대한 다양한 문제의식과 고민을 함께 나눴다. 그리고 ‘더 나은 삶, 더 나은 교육을 꿈꾸는 한국의 교사와 학부모들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책’을 같이 만들어보기로 했다. 두 사람은 덴마크의 훌륭한 교사들을 찾아 나섰다. 언론사 폴리티켄이 선정한 ‘훌륭한 교사상’ 수상자는 물론이고 덴마크 각계에서 추천을 받았다. 수많은 교사들을 만났지만 이 책에는 다양한 과목과 다양한 학교에서 10명의 교사를 선정했다. 교사들의 인터뷰는 베른센 기자가 영어로 쓰고, 오연호 작가가 우리말로 옮겼다. 한국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덴마크 교육정책에 대한 여러 정보를 추가하기도 했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까? 어떤 ‘다른 길’이 있을까? 우리는 한국의 교사들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덴마크 교사들의 경험’을 모아보기로 했다. 덴마크의 교사들은 공부할 의지를 잃은 아이에게 어떻게 동기를 부여하는지, 시험에 어떻게 대비하는지, 자신감을 어떻게 심어주는지 등등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 마르쿠스 베른센

《삶을 위한 수업》에 소개된 10명의 덴마크 교사들은 덴마크의 유력 일간지 폴리티켄이 선정한 ‘훌륭한 교사상’ 수상자이거나 덴마크 교육계 인사들이 추천한 교사들이다. 이들은 영어, 수학, 과학, 사회 등 가르치는 과목도 다르고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등 가르치는 학생도 다르다. 그렇지만 이들이 추구하는 수업 방향과 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철학은 같다. 교사와 학생 사이에 인간적인 관계 형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학생들을 경쟁의 노예로 만들지 않는다. 뒤처진 아이들에게도 성취감을 안겨주면서 주눅 들지 않게 하고, 교과서보다 학생들의 질문에 더 주목한다.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의 권력을 분점하고, 민주주의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실천하며, 시험을 위한 수업이 아니라 ‘삶을 위한 수업’을 지향한다.
10명의 덴마크 교사들은 자신과 같은 고민을 하는 동료들과 나누고 싶은 조언을 세 가지씩 정리했다. 각 인터뷰 말미에 실린 ‘교사에게 건네는 조언’은 매일 아이들을 만나는 교사는 물론이고 학부모와 어른들에게도 유용한 지침이 되어줄 것이다.

이 책은 행복한 수업, 행복한 교실, 행복한 학교가 어떻게 행복한 사회, 행복한 나라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지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 나는 그동안 전국에서 1160회 넘게 ‘행복 강연’을 하면서 ‘더 행복한 학생, 더 행복한 교실’을 위해 헌신적으로 일하고 있는 교사들을 많이 만났다. 우리 사회에 많은 문제가 있고, 우리 교육에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고 해도 우리가 다시 희망을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은 “오늘, 지금, 나부터 꿈틀거리겠다”면서 묵묵히 실천하고 있는 교사들이 있기 때문이다.
《삶을 위한 수업》이 그들의 손을 조용히 잡아주는 동지가 되길 바란다. - 오연호

저자소개

코펜하겐의 근교에서 태어나 대부분의 어린 시절을 자전거 위에서 보냈다. 자녀에게 최대한의 자유와 기회를 주었던 부모님 덕분에 그는 자신만의 시간과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충분히 탐험하며 성장했다. 요리하는 것을 좋아해서 중학생 때부터 베이커리나 델리에서 일하기 시작했고 대학생이 되어서도 그 일을 계속했다. 그는 덴마크의 코펜하겐 대학교(Københavns Universitet)에서 철학을 전공했으며 이어서 오후스에 있는 저널리즘 학교에서 공부했다. 저널리스트로서 공부하는 동안에는 캄보디아의 '프놈펜 포스트(The Phnom Penh Post)'에서 6개월 동안 리포터로 근무했고, 홍콩대학교(University of Hong Kong)에서는 'Covering China' 대학원 코스를 마쳤다. 2008년부터 지금까지 덴마크의 '비켄다비젠(Weekendavisen/북유럽 최대의 신문사)에서 일하고 있으며, 『Hellerup: 코펜하겐 북쪽의 부유한 동네(공저)』와 『Magteliten: 덴마크의 정치 및 비즈니스 엘리트는 어떤 방식으로 일하는가(공저)』를 출간했다. 19살 때 만난 '리아'와 결혼해서 2012년에 첫 아들을, 이듬해에 아들, 딸 쌍둥이를 두었다. 2014년에 온 가족이 서울로 이주한 이후 비켄다비젠의 한국 특파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서울에 있는 동안 특파원으로 많은 주제들을 다뤘지만 가장 큰 관심을 가졌던 주제는 '한국과 북유럽 국가들 사이의 교육과 육아 방식의 차이점'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 우리도 삶을 가르칠 수 있을까 | 오연호



한국의 독자들에게

- 행복한 교육을 위하여 | 마르쿠스 베른센





01 수학도 즐거울 수 있다

- 헤닝 아프셀리우스 Henning Afzelius



02 시험과 점수가 중요할까?

- 헬레 호우키에르 Helle Houkjær



03 영어 잘하고 싶니?

- 안데르스 울랄 Anders Uldal



04 민주주의 게임

- 킴 륀베크 Kim Lynbech



05 세계시민으로 산다는 것

- 안데르스 슐츠 Anders Schultz



06 선생님, 엄마, 친구

- 메테 페테르센 Mette Petersen



07 학교 그만 다닐까?

- 페테르 크로그 Peter Krogh



08 그냥 춤춰라

- 마리아네 스코루프 Marianne Skaarup



09 노는 것이 공부다

- 아스트리드 엥엘룬 Astrid Engelund



10 삶을 위한 학교

- 토마스 라스무센 Thomas Rasmussen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