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한국 대중음악사 - 통기타에서 하드코어까지 (커버이미지)
한국 대중음악사 - 통기타에서 하드코어까지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이혜숙 지음 
  • 출판사리즈앤북 
  • 출판일2003-10-22 
보유 2,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한국 가요사 입문서이 책은 1970년 대 이후부터 최근까지의 한국 가요의 역사에 관한 책이다. 보통 대중가요 하면 대중의 심상을 반영하고 세상사로부터의 피로를 해소하는 배출구로서의 소비문화의 역할을 주로 논해왔다. 그러나 이책에서는 대중가요가 역사적으로 대중의 의식과 시대의 흐름을 함께 했으며, 때로는 한 세대를 아우르며 시대의 문화를 리드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해왔음을 말하고 있다. 또한 이 책은 가요의 시대적 배경, 즉 정치,사회, 경제적 배경을 충실히 담아, 가요가 한 시대 사람들의 욕구와 감성을 어떻게 반영하고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1990년 대를 이해하는 중요한 지침서특히 1990년 대의 가요사는 현재를 사는 우리가 스스로 경험했지만 스스로 망각하고 있는 중요한 시대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한국 자본주의가 새로운 단계에 접어드는 시점에서 맞이한 신세대 문화와아이콘으로서의 서태지, 가요로서 표출된 새로운 문화 그리고 세대간의 갈등을 자세히 조명하면서, 그 시기를 반영하고 리드해 온 가요가 오늘날 우리들에게 어떤 중요성을 갖는지 시사하고 있다.♧ 저자 소개이혜숙외가요 칼럼니스트 이혜숙은 대학에서 국문학을 전공한 행복한 주부이다. 어릴 때부터 가요를 좋아했던 그녀는 서태지와 아이들 하이텔 팬클럽인 '또래네'의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십여 년 전부터buglist라는 이름으로 하이텔 대중문화 동호회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시작하여 이후 하이텔은 물론, 대학교 학보나 사보, 일간지 등에 가요, 통신문화, 팬클럽 문화 등에 대한 글을 기고해 오고 있다.

저자소개

[한국 대중음악사]

목차

1970년 대 통기타 세대n통기타 시대의 출발, 쎄시봉n한대수와 김민기: 통기타 음악의 새로운 지평n쎄시봉 가수들의 성공n새로운 사운드, 고고의 시대n1980년 '돌아와요 부산항에'와 고고 트로트의 열풍n대학가요제: 신선한 고고 리듬이 대학가를 휩쓸다n산울림: 대학 그룹사운드의 전성기를 열다n길옥윤, 사랑과 평화, 그리고 펑키 디스코의 열풍n신군부 독재와 조용필의 시대n한국 대중음악 발전의 산실, 미8군 무대n1975년 가요계 규제 조치와 대마초 파동n1980년 대의 신화, 조용필n급변하는 정치상황와 가요계의 변화n통기타 진영의 세대변화와 새로운 모색n1980년 대 중반 팝과 록의 전면 부상n1980년 대 한국 경제의 성장n동아기획 : 음반 기획사의 새 장을 열다n1980년 대 중 후반 발라드의 전성기n새로운 세대의 등장과 서태지와 아이들의 탄생n마이클 잭슨과 마돈나, 그리고 새로운 세대n시나위와 언더 메탈 씬의 등장n서태지와 시나위 4집n무한궤도, 신해철, 공일오비: 명문대 출신 신세대 음악가들n1990년 대 서태지 혁명n가요혁명의 서막이 된 서태지와 아이들 1집n공일오비, 넥스트, 현진영: 댄스 뮤직 체제로 전환하는 가요계n힙합, 메탈, 태평소: '하여가'의 강력한 충격n'하여가'와 트로트의 몰락n개인주의의 대두와 첨예화된 세대 간 대립n세대 간의 전쟁, 그리고 주류 댄스 음악의 완성n서태지와 아이들 3집과 넥스트 2집: 재가동 되는 록 음악n절정기의 서태지와 아이들, 그리고 팬 문화의 시작n서태지의 은퇴와 가요혁명의 종결n가요계의 불황과 돌아온 서태지n1990년 대를 이해하는 키워드n1990년 대 초 신세대 논쟁n서태지 세대의 문화적 힘, 그리고 세대 간의 갈등n인터넷의 보편화와 침체하는 가요계n신세대를 이해하는 것은 미래를 얻는 것이다n서태지 문화혁명과 새로운 가치관의 시작

한줄 서평